농생명축산산업국장 최재용입니다.
항상 도정발전과 우리 농생명축산산업국 소관 업무에 많은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임승식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농생명축산산업국 소관 2025년 예산안, 2025년도 농림수산발전기금 운용계획안, 2024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2025년 예산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별설명서 1쪽입니다.
세입예산은 전년 대비 174억 5366만 원이 증가한 7635억 2094만 원으로 도 전체 일반회계 세입예산 8조 7369억 원 대비 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입과목별 내용은 세외수입 45억 787만 원, 보조금 7590억 1307만 원입니다.
다음은 사업별설명서 10쪽입니다.
세출예산은 전년 대비 200억 7778만 원이 증가한 1조 569억 1380만 원으로 도 전체 일반회계 세출예산 8조 7369억 대비 12.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14쪽 부서 및 사업별 내역입니다.
농생명정책과는 전년 대비 262억 원이 증액된 4884억 1519만 원으로 주요사업으로는 농업인 복지 및 경영안정지원 관련 29억 원, 농촌고용인력지원사업 28억 원,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182억 원, 전략작물 직접지불제 646억 원, 전북 농업농촌 공익적가치 지원 312억 원, 기본형 공익직접지불제 3448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17쪽입니다.
농촌사회활력과는 전년 대비 19억 원이 감액된 2372억 5819만 원으로 주요사업으로는 전북농어촌종합지원센터 운영 25억 원,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353억 원, 기초생활거점 조성사업 377억 원, 배수개선사업 600억 원, 시·군수리시설 개보수 140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1쪽입니다.
스마트농산과는 전년 대비 53억 원이 감액된 1094억 3017만 원으로 주요사업으로는 지역특화품목 비닐하우스 지원 90억 원, 원예분야 ICT융복합 지원 37억 원, 지역특화 임대형스마트팜 조성 17억 원, 토양개량제 95억 원, 종자기업 공동활용 종자가공처리센터 구축 30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27쪽입니다.
농식품산업과는 전년 대비 112억 원 증액된 738억 7727만 원으로 주요사업으로는 마이크로바이옴 공공임대형 지식산업화센터 건립 45억 원, 전북특별자치도 농생명분야 대표기업 육성 17억 원, 전주국제발효식품엑스포 개최 13억 원, 학교 무상급식 지원 238억 원,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육성 52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1쪽입니다.
축산과는 전년 대비 85억 원 감액된 406억 7115만 원으로 주요사업은 가축재해보험 농업인 부담금 지원 14억 원, 학교우유급식 지원 30억 원, 탄소중립 저탄소 한우축군 조성사업 10억 원, 조사료 생산지원 20억 원, 축산악취개선사업 15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5쪽입니다.
동물방역과는 전년 대비 205억 원 증액이 된 769억 3158만 원으로 주요사업은 가축방역약품지원 56억 원, 구제역 가축백신지원 74억 원, 살처분 보상금 169억 원, 공동방제단 운영 17억 원, 동물용의약품 시제품 생산시설 구축 152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0쪽입니다.
농식품인력개발원은 전년 대비 1억 원 증액된 78억 6583만 원으로 주요사업은 농업인력양성과정 운영 6억, 스마트팜 혁신밸리 창업보육사업 16억 원, 농업마이스터대학 운영 지원 14억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1쪽입니다.
동물위생시험소는 전년 대비 9억 원이 감액된 174억 4740만 원으로 주요사업은 구제역 및 AI 예방약품 구입비 46억 원, 방역차량 및 질병검사장비 등 지원 11억 원, 축산물위생 검사기관 운영비 지원 13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5쪽입니다.
축산연구소는 전년 대비 23억 원이 증액된 50억 1702만 원으로 주요사업은 동물복지 미래농장 설립 15억 원, 저탄소 한우축군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4억 원, 종축생산 및 보급 8억 원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두 번째로는 2025년도 농림수산발전기금 운용계획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금 운용계획서 4쪽입니다.
수입‧지출 규모는 263억 2466만 원입니다.
주요 수입내역은 공공예금에 대한 이자수입 7억 7579만 원, 시·군 부담금 6억 원, 예치금에 대한 회수 199억 5583만 원, 일반회계로부터의 전입금 15억 원입니다. 예탁금 원금회수가 32억 4000만 원, 예탁금 이자수입이 2억 5304만 원이 되겠습니다.
주요 지출내역은 융자금 이차보전이 70억 원, 예치금 예치가 193억 2466만 원입니다.
세 번째입니다. 2024년도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업별설명서 1쪽입니다.
세입예산은 기정보다 161억 9548만 원이 증액된 8207만 원으로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 등의 증액이 주요원인입니다.
세입과목별 내용은 세외수입에 1억 5221만 원 감액, 지방교부세 20억 원 증액, 보조금 142억 3635만 원 증액, 보전수입 등에 1억 1134만 원 증액 등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설명서 8쪽입니다.
세출예산은 기정예산보다도 226억 5252만 원이 증액이 된 1조 1184억 4864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12쪽부터 부서별 사업내역을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농생명정책과는 전북형 농촌 외국인근로자 기숙사 건립 지원 8억 원 증액, 탄소중립 프로그램 시범사업 5억 원 증액 등으로 13억 원 증액하였으며, 4923억 6943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농촌사회활력과는 임시거주시설 조성 10억 원 증액, 농촌공간정비사업 5억 8500만 원 증액, 농촌공간계획 수립체계 지원 사업에 3억 5000만 원 등을 신규 반영하였으며, 21억 4450만 원을 증액하여 모두 2689억 9337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스마트농산과는 비료 가격안정 지원사업 4억 2015만 원 증액, 국산밀 생산단지 교육컨설팅 지원 1억 9220만 원 증액, 농작물 재해보험 지원 34억 2688만 원을 증액하였습니다. 56억 7395만 원을 증액하여 1300억 5782만 원을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농식품산업과는 그린바이오소재 첨단분석시스템 구축사업 32억 원을 신규 반영하였고 학교 무상급식 지원 2억 원을 감액하는 등 31억 5096만 원을 증액하여 모두 666억 923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축산과는 축산분야 FTA피해보전 직불제 75억 4255만 원을 신규 반영하였고 조사료 생산지원에 8억 6596만 원을 증액하여 모두 93억 2565만 원을 증액함으로써 549억 7007만 원을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동물방역과는 가축사육제한 지원 사업 8억 5191만 원을 증액하였고 소득안정자금 3억 3677만 원 증액, 거점소독시설 설치지원에 2억 6000만 원 등을 감액하여 10억 8912만 원을 증액하였고 모두 765억 2655만 원을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농식품인력개발원은 국고보조금반환금으로 1억 8400만 원을 증액,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창업 보육사업 2억 원 등을 감액하여 모두 1299만 원을 감액하였고 78억 3901만 원을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동물위생시험소는 구제역 및 AI 예방약품 구입 지원 인건비 1억 400만 원을 증액하는 등 총 1억 486만 원을 증액하여 모두 179억 3439만 원을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끝으로 축산연구소는 부서 인력운영비 등 총 1억 2340만 원을 감액하여 모두 26억 6571만 원을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심의과정에서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저희 농생명축산산업국 업무에 성원과 격려를 함께해 주시는 임승식 위원장님과 여러 위원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예산안, 2025년도 농림수산발전기금 운용계획안, 2024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